CS/정보통신공학

[정보통신공학] Ch01. Data Communications, Data Networks, and the Internet

rngPwns 2025. 4. 11. 14:34

중간고사

ch 1,2,4,6,7

유의사항

  • 연습문제
  • 판서
  • 필기
  • 퀴즈
  • 숫자 : 딱 떨어져야 함 계산기 필요 없을 정도로
  • 5지선다 16개-맞는거, 틀린거 고르는 거 잘 보기. 가장 근접한 답 하나. 당구장표시->~무시해라. 단답형 16개(그림도 많이 나옴), 서술형 x
  •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

 

[PPT 번역본] 

 

 

📌 Learning Objectives

  • 데이터 통신 트래픽 양의 추세 개요를 제시한다.
  •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핵심 요소를 이해한다.
  •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종류를 요약한다.
  • 인터넷의 전체 구조에 대한 개요를 설명한다.

기술 발전 – 주요 동인(Driving Forces)

  • 대역폭 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
    • VoIP(Voice over IP), 화상회의, 온라인 게임, 실시간 콘서트나 스포츠 스트리밍
    • 상호작용형 온라인 활동, 소셜 네트워크
  • 손실(loss)에 민감한 애플리케이션
    • 파일 공유(P2P, peer-to-peer)
    • 주문형 비디오(VoD) 스트리밍
    • 이메일
    • 원격 접속(Remote access)

네 가지 주목할 기술 트렌드

  1. 더 빠르고 저렴한 컴퓨팅 및 통신 추세
    • 더 강력한 컴퓨터는 더 많은 요구를 충족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
    • optical fiber(광섬유) 및 고속 무선통신의 확산으로 전송 비용은 감소, 용량은 증가
  2. 네트워크의 지능화
    • 서비스 품질(QoS)의 다양한 수준
    •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에 있어 맞춤형 서비스 제공 가능
  3. 인터넷, 웹,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지배적 부상
    • "Everything over IP"
    • 기업 내부 정보 보호를 위한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사용 증가
  4. 모빌리티(Mobility)
    • iPhone, Droid, iPad는 비즈니스 네트워크의 진화를 주도
    • 기업 애플리케이션이 이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일반적으로 제공
    • 클라우드 컴퓨팅 수용 확대

기술 발전: CES 2023 ~ CES 2025 트렌드

  • AI, Metaverse, On-Device AI, 로봇 모빌리티(자동차), 위성 연결 증가
  • Net Zero ESG(환경·사회·거버넌스)
  • Spatial computing, 가정용 헬스케어 기술 부상

기본 용어 정리 (1/2)

  • Station(스테이션): 컴퓨터, 단말기, 전화기 등 종단 장치
    • 송신측: Source station(TX)
    • 수신측: Destination station(RX)
  • Node(노드): 스위칭/라우팅 등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
    • 노드는 데이터 내용보다는 전달 경로 결정에 관여
    • 노드는 노드만 연결하거나, 스테이션과도 연결 가능
    • 노드 간 링크는 보통 여러 신호를 한 선에 실어 보내기 위해 다중화(FDM, TDM)
      • 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주파수 분할 다중화):
        각 데이터 신호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부여해서 동시에 전송
      • 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 ) (시간 분할 다중화):
        시간대를 나눠서 순서대로 번갈아 전송

기본 용어 정리 (2/2)

  • 통신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의 집합이며, 두 가지 스위칭 기술을 사용함:
    • LAN(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Ethernet(이더넷), Wi-Fi, Cellular Network(셀룰러 네트워크)
    • WAN(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
      •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 Path(경로):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연결된 링크 시퀀스
    • End-to-End Path(e2e 경로): 두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링크(또는 노드) 리스트

네트워킹 기술의 변화

  1. 고속 LAN의 등장
  2. 기업의 WAN 수요 증가

추가 기술 요소: 자동화, 5G, Wi-Fi 6, AI,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킹


Cisco의 글로벌 네트워킹 트렌드 & NaaS(Network as a Service)

  • 배경 요인
    • 모바일 사용자 증가, 클라우드 확산 → 네트워크 복잡도 증가
    •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 보안 위협
    • 신규 서비스 구축, 패치, 보안 업데이트에 IT 인력의 출장이 요구됨
  • 해결책: NaaS (자체 인프라 없이 네트워크를 클라우드처럼 운영)
    • 하드웨어 중심 VPN, 로드밸런서, 방화벽, MPLS를 대체 가능
    • 수요에 따라 확장/축소 가능, 빠른 서비스 배포, 하드웨어 비용 제거
  • 비교: SASE vs NaaS
    • SASE: 사무실/재택 사용자 → 애플리케이션/데이터 연결 아키텍처
    • NaaS: 물리 인프라 없이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완전한 서비스 패키지

Cisco: AI와 네트워크의 미래

  • **Generative AI(생성형 AI)**가 B2B 영역에 확산 → 사용자 맞춤 LLM 등장
  • 책임감 있는 AI 활용을 위한 윤리적 거버넌스 논의 시작
  • AI 기반 피싱, 허위 정보, 사기 증가 → 사이버보안 협력 필요
  • 양자 컴퓨팅은 향후 암호화 및 네트워킹 구조의 핵심
  • AI는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면서도 새로운 효율 패러다임 창출

고속 LAN의 등장 배경

  • 개인용 컴퓨터(PC) 및 마이크로 워크스테이션 → 필수 사무 도구
  • 고속 LAN 필요 이유:
    • 중앙 서버팜
    • 강력한 작업 그룹
    • 고속 로컬 백본
  • 두 가지 주요 변화
    • 개인용 컴퓨터의 속도와 컴퓨팅 파워 폭발적 증가
    • LAN이 필수적이고 실용적인 컴퓨팅 플랫폼으로 인정됨

기업의 WAN 수요

  • 재택근무 확대
  • 애플리케이션 구조 변화
  •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의존도 증가
  • 데이터 집약형 애플리케이션 확대
  • 대부분 조직에서 인터넷 접근 필요
  • 트래픽 패턴이 예측 불가해짐, 평균 트래픽 부하 증가
  • 오프프레미스 데이터 이동량 증가 → 고속 WAN 요구

Convergence(융합)

  • 음성/데이터 기술의 통합
    • 음성을 데이터 인프라로 이동
    • 모든 음성과 데이터 네트워크를 단일 데이터 네트워크로 통합
  • IP 기반 패킷 전송
  • 3계층 구성:
    • 애플리케이션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QoS, 인증 등 기능 제공)
    • 인프라스트럭처 (통신 링크)

Communication Models(통신 모델)

  • 전송 시스템 효율화: 다수 장치가 공유하는 전송 시설 사용 → 다중화 필요
  • 장치는 전송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필요
  • 인터페이스 이후에는 신호 생성 필요
  • TX와 RX 간의 동기화(타이밍) 중요: 신호 시작/종료 시점과 지속 시간 파악 필요

통신 작업 1/4

  • 연결 관리는 TX와 RX 간 통신을 위한 규칙 정의
  • 전송 중 오류 발생 가능 → 오류 검출 및 정정 필요
  • 복구 기술: 트랜잭션이나 파일 전송 중단 시 이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재개

통신 작업 2/4

  • 흐름 제어(Flow control): 송신측이 수신측을 압도하지 않도록 제어
  •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네트워크가 과도한 요청에 의해 마비되지 않도록
  • 메시지 포맷팅(Message formatting): 같은 계층 내 두 노드 간 데이터 형식 일치 필요

통신 작업 3/4

(슬라이드 내 상세 내용 없음, 다음으로 이동)


통신 작업 4/4

  • Addressing(주소 지정): 여러 장치가 있을 때 목적지를 명시
  • Routing(라우팅): 출발지→목적지로 가는 경로 선택
  • 보안(Security):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발신자 확인 보장
  • 네트워크 관리(Network management): 설정, 상태 모니터링, 장애 대응, 성장 계획

데이터 통신: 전송 매체

  • 현재 데이터 통신을 이끄는 두 가지 전송 매체:
    • Fiber optic transmissions(광섬유 전송)
    • Wireless transmissions(무선 전송)
  • 관리자 입장에선 용량, 신뢰성, 비용 고려
  • 전송 서비스는 여전히 예산 중 가장 큰 비용 차지
    → 효율성 증대를 위한 두 가지 접근법

Multiplexing(다중화) vs Multiple Access(다중 접속)

항목Multiplexing (L1)Multiple Access (L2)
구조 단일 복합 신호로 전송 여러 사용자의 데이터 공유 전송
유형 FDM, TDM, WDM, OFDM FDMA, TDMA, CDMA, WDMA, OFDMA, CSMA
네트워크 포인트 투 포인트 멀티포인트 투 포인트

네트워크 사용 현황

  •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용량 소비
  • 여러 장치에서 동시 사용
  • 다양한 브로드밴드 장치는 더 높은 트래픽 생성 능력

네트워크 통합 및 기술 확장

  • 기술 발전은 용량 증가 + 통합 개념 도입
  • 음성, 데이터, 이미지, 비디오 동시 처리 가능
  • 네트워크 유형: WAN vs LAN

Wide Area Network(WAN)

  • 넓은 지리적 범위 커버
  • 공공 도로(권리)를 통과해야 함
  • 공중망 일부 사용
  • 주요 기술:
    • 회선 교환: PSTN, POTS, ISDN
    • 패킷 교환: Internet(TCP/IP), X.25, Frame Relay, ATM

Circuit Switching(회선 교환)

  • 통신 중 전체 경로 전용 연결
  • 각 링크에 논리적 채널 할당
  • 중간 노드에서 지연 없이 바로 스위칭
  • 예: 전화망(PSTN)

Packet Switching(패킷 교환)

  • 데이터를 작은 단위의 패킷으로 나눠 전송
  • 노드 간 릴레이 방식으로 전달
  • 버스트형/간헐적 데이터에 적합
  • 자원 공유 가능, 링크 속도 활용 가능
  • 혼잡 시 패킷 지연·손실 가능

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

항목Packet SwitchingCircuit Switching
연결 없음 필요 (Call Set-up)
자원 예약 없음, 요청 시 할당 항상 예약됨
자원 점유 동적 공유 사용자 전용
서비스 품질 비보장, 유연성 ↑ 보장, 안정성 ↑
사용자 수 유동적 제한적

LAN(Local Area Network) vs WAN

구분LANWAN
범위 좁은 지역 넓은 지역
속도 빠름(1000Mbps) 느림(150Mbps)
예시 사무실 네트워크 인터넷
기술 Ethernet, Token Ring MPLS, ATM, X.25
연결 방식 전화선/무선 공공망, 위성
장비 스위치, 브릿지 라우터, 멀티레이어 스위치
오류 적음 많음
비용 설치/유지 저렴 비쌈
소유 단일 기관 다수 기관 공유

The Internet

  • ARPANET에서 발전
    • 최초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
    • 위성/무전 통신에도 적용
    • 여러 네트워크 간 통신 문제 해결 → 인터네트워킹
    • 표준화된 TCP/IP 등장

인터넷 구성 요소 및 용어

  • CO(Central Office): 전화회사의 중계국
  •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고객 장비
  • ISP: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NAP: 주요 인터넷 연결 지점
  • NSP: ISP에 백본 서비스를 제공
  • POP(Point of Presence): ISP 장비가 위치한 지점

인터넷 구조 및 표준화 조직

  • 계층적(Hierarchical) 인터넷 구조
  • 주요 표준화 기관:
    • ISO, ITU, ANSI, IEEE, IETF

요약 Summary

  • 데이터 통신을 위협하는 트렌드:
    • 트래픽 증가, 신서비스 개발, 기술 진보
  • 네트워크 분류:
    • WAN vs LAN
  • 인터넷:
    • ARPANET에서 발전
    • TCP/IP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