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공학 단위 정리
🟦 1. 데이터 크기 단위 (Data Size)
단위값 (기준)의미
bit (b) | 1bit | 가장 작은 정보 단위 (0 or 1) |
byte (B) | 8 bits = 1B | 일반적인 문자 1개 표현 |
Kilobyte (KB) | 1KB = 1024 B | 기억장치 크기 단위 |
Megabyte (MB) | 1MB = 1024 KB = 1,048,576 B | |
Gigabyte (GB) | 1GB = 1024 MB | |
Terabyte (TB) | 1TB = 1024 GB |
✅ 1B = 8b 꼭 기억하자!
🟦 2. 전송 속도 단위 (Transmission Rate / Bandwidth)
단위값의미
bps (bit per second) | 초당 비트 수 | 기본 전송 속도 단위 |
Kbps | 1Kbps = 10³ bps = 1,000 bps | |
Mbps | 1Mbps = 10⁶ bps = 1,000,000 bps | |
Gbps | 1Gbps = 10⁹ bps = 1,000,000,000 bps | |
Tbps | 1Tbps = 10¹² bps |
⚠️ Mbps는 Megabit per second이고
MBps는 Megabyte per second → 1MBps = 8Mbps
🟦 3. 시간 단위 (Time)
단위값비고
s (초) | 기본 단위 | |
ms (밀리초) | 1ms = 10⁻³ s = 0.001초 | |
μs (마이크로초) | 1μs = 10⁻⁶ s = 0.000001초 | |
ns (나노초) | 1ns = 10⁻⁹ s |
📌 Propagation delay, Transmission delay 계산할 때 자주 등장함
🟦 4. 주파수/속도 단위
단위값설명
Hz (헤르츠) | 1Hz = 1회/초 | 주기적 신호의 빈도 |
KHz | 1KHz = 10³ Hz | |
MHz | 1MHz = 10⁶ Hz | |
GHz | 1GHz = 10⁹ Hz |
📌 무선 주파수, CPU 클럭 속도 등에 사용
🟦 5. 거리 단위 (거리/속도 계산 시 사용)
단위값비고
m (미터) | 기본 단위 | |
km (킬로미터) | 1km = 1,000m | |
Propagation delay 계산 시: | ||
거리 ÷ 전파속도 (ex: 광섬유 내 2×10⁸ m/s) |
🟦 6. 전파 속도
매체속도 (근사)
공기 중 | 3 × 10⁸ m/s |
광섬유 | 약 2 × 10⁸ m/s |
구리선 (UTP 등) | 약 1.5 × 10⁸ m/s |
🟦 7. 기타 자주 나오는 용어 단위
항목단위설명
Frame rate | frames/sec | 1초에 전송되는 프레임 수 |
Slot size | bits/slot | 1 슬롯 안의 비트 수 |
Bandwidth (대역폭) | bps | 최대 전송 가능 속도 |
Delay | s, ms, μs | 지연 시간 |
Storage | B, KB, MB | 저장 장치 용량 |
Data rate (사용자 속도) | bps | 응용 프로그램의 전송 속도 |
📌 정리 요약:
- b: bit, B: byte → 1B = 8b
- Mbps = 10⁶ bps
- 1ms = 10⁻³ s
- Frame size = n × s (bits)
- Bandwidth R = frame rate × slot 수 × slot 비트수
R ≥ Frame rate(초당 얼마씩) × Number of slots × Bits per slot (한 프레임이 전송해야 할 총 비트 수)
한 프레임 안에 여러 사용자들이 있고, 프레임이 초당 계속 전송된다.
- Q1: X bps 채널 n개를 TDM으로 MUX하면?
→ R = X × n- 즉, **하나의 링크(R)**가 4개의 채널 데이터를 다 합쳐서 전송하려면,
각 채널마다 자기 슬롯에 해당하는 시간에만 데이터가 실리게 되는 것
- 즉, **하나의 링크(R)**가 4개의 채널 데이터를 다 합쳐서 전송하려면,
- Q2: Time slot이 s 비트일 때 프레임 속도는?
→ Frame rate = X / s - Q3: 4개 × 250비트 슬롯 × 초당 16 프레임이면?
→ R = 16 × 4 × 250 = 16,000bps = 16kbps
🧩 Cell Splitting vs Cell Sectoring
Cell Splitting | R 감소 → 셀 수 증가 → 용량 증가 → BS 수 증가 → 장비 승인 비용 ↑ |
Cell Sectoring | 셀을 Sector로 나눠 채널 분할 → CCI 감소, SIR 증가 → 용량 증가 → BS 수는 늘지 않음, 대신 Trunking Efficiency ↓ |
'CS >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공학] CH12 교수님 요약 정리 (2) | 2025.06.11 |
---|---|
[정보통신공학] CH13 교수님 요약 정리 (1) | 2025.06.09 |
[정보통신공학] 연습문제 ch13 (0) | 2025.06.04 |
[정보통신공학] 연습문제 ch12 (1) | 2025.06.04 |
[정보통신공학] 연습문제 ch11 (0)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