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러 네트워크 (Cellular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란?
- 넓은 서비스 지역(A)을 여러 작은 구역(cells)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네트워크 구조입니다.
- 서로 떨어진 셀에서 동일 주파수 대역(channel)을 저전력의 짧은 안테나로 재사용(reuse)하여 사용합니다.
- 셀룰러 네트워크의 목표는 **용량(capacity)**과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1. 용량 (Capacity)과 커버리지 (Coverage)
용량 (Capacity):
- 동시에 A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채널(Mobile Users (MU) 또는 Mobile Stations)의 수입니다.
- 용량 계산:
- 클러스터 수(Ncs) × 주어진 자원(K)
- 셀 하나당 채널 수(=K/N) × A 내 셀의 총 개수(Ncell)
커버리지 (Coverage):
- 주어진 용량을 가진 서비스 지역을 의미합니다.
2. 왜 **육각형 셀(hexagonal cell)**이 **정사각형 셀(square cell)**보다 좋은가?
- 인접한 두 기지국(BS, Base Station 또는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간의 거리가 동일하여 이동 중인 이동 사용자가 어느 셀로 이동할지 쉽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육각형은 원형과 유사하여 안테나 전력의 중첩(overlap)을 최소화하면서 서비스 영역 전체를 효율적으로 커버할 수 있습니다.
3. 셀 반경(R)과 재사용 거리(D)의 변화에 따른 영향
(1) 재사용 거리(D)를 줄이고 셀 반경(R)을 유지할 경우
- 클러스터 크기(N)가 감소하여 서비스 영역 내 클러스터 수가 증가합니다.
- 따라서, 셀 당 채널 수가 증가하고 용량이 늘어납니다.
- CCI (Co-Channel Interference, 동채널 간섭) 확률도 증가합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 전력과 높이를 낮춰야 합니다.
(2) 셀 반경(R)을 줄이고 클러스터 크기(N)를 유지할 경우
- 클러스터 크기가 고정되어 있어 셀 당 할당된 채널 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 서비스 영역(A) 내 셀의 총 개수가 증가하여 용량이 커집니다.
- R이 감소함에 따라 클러스터 수가 증가합니다.
- CCI 확률도 증가하므로 안테나 전력과 높이를 낮춰야 합니다.
4. 셀 분할(Cell Splitting) vs. 셀 분할(Cell Sectoring)
(1) 셀 분할 (Cell Splitting)
- 셀 반경(R)을 줄여 혼잡 지역에서 셀 개수를 늘림으로써 용량을 증가시킵니다.
- BS(Base Station) 개수가 늘어 공공장소에 BS를 세우기 위한 승인 비용이 추가됩니다.
(2) 셀 섹터링 (Cell Sectoring)
- CCI를 줄이고 **SIR (Signal-to-Interference Ratio, 신호 대 간섭비)**를 증가시켜 용량을 늘립니다.
- 셀 하나를 여러 개의 섹터(cell sector)로 나눠 채널을 할당하므로 트렁킹 효율(Trunking Efficiency)이 줄어듭니다.
- BS의 개수는 늘지 않으므로 공공시설 설치 비용이 추가되지 않습니다.
트렁킹 효율 (Trunking Efficiency):
- 네트워크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수를 채널 공유를 통해 최대화하는 측정값입니다.
5. 셀 유형 (Cell Types)
유형범위수용 인원
매크로 셀 (Macro Cell) | 약 35 km | 수천 명 |
마이크로 셀 (Micro Cell) | 약 2 km | 수백 명 |
피코 셀 (Pico Cell) | 약 200 m | 수십 명 |
펨토 셀 (Femto Cell) | 약 10 m | 약 10명 |
- Pico Cell과 Femto Cell 같은 소형 셀은 실내 음영 지역을 제거하거나 핫스팟(hot spot)에서 트래픽을 분산시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1. 셀의 용량 계산 (Capacity Calculation)
(A1)
- 각 셀 당 채널 수:3367=48 channels per cell\frac{336}{7} = 48 \text{ channels per cell}
- 전체 336채널을 7개의 셀에 분배하여 하나의 셀에 48개 채널 할당
(A2)
- 서비스 지역(A) 내 셀의 수: 32개
- 서비스 지역 전체 용량:48 channels×32 cells=1,536 calls48 \text{ channels} \times 32 \text{ cells} = 1,536 \text{ calls}
(A3)
- A 지역의 셀 수를 4배로 증가(32 x 4)했을 때:48 channels×(32×4)=6,144 calls48 \text{ channels} \times (32 \times 4) = 6,144 \text{ calls}
- 클러스터 수(N)는 변하지 않고, 셀 수만 증가하여 전체 용량이 증가함
2. 셀 유형 (Cell Types)
셀 유형반경(R)높이(H)수용 인원
Macro Cell | ~ 25 km | ~ 50 m (타워) | 수천 명 |
Micro Cell | ~ 2 km | ~ 15 m (아파트 6~7층 높이) | 수백 명 |
Pico Cell | ~ 200 m | ~ 6 m (실내외벽) | 수십 명 |
Femto Cell | ~ 10 m | 1 ~ 2 m (공유기 크기) | 약 10명 |
- Pico/Femto Cell 같은 소형 셀은 실내 음영 지역을 제거하거나 핫스팟(hot spot)에서 트래픽을 분산하여 **데이터 속도(data rate)**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3. 2G 셀룰러 네트워크 구성 요소 (Component of 2G Cellular Network)
-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 BSC (Base Station Controller) → MTSO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or MSC: Mobile Switching Center)
- BTS는 채널 할당을 하지 않습니다. (채널 할당은 MSC 또는 BSC가 수행)
- BSC의 역할:
- MSC를 지원하는 기능으로, 작은 용량의 다중 링크를 큰 용량의 적은 수의 링크로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임
4. 셀룰러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 (Change of Cellular Network Architecture)
세대기지국 명칭
1G, 2G |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
3G | NodeB |
4G | eNB (Evolved NodeB) |
5G | GNodeB (Next Generation NodeB) |
- 4G부터는 Packet Switching과 Circuit Switching이 통합되어 셀룰러 네트워크를 구성함
5. 2G GSM에서 두 이동 단말(MU) 간 통화 절차 (Call Procedure in 2G GSM)
- **MU_S (발신 단말)**가 Broadcast Control Channel을 통해 주변 BTS 중 신호 강도가 가장 높은 BTS와 연결합니다.
- MTSO로부터 가입자 인증과 현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 MU_S는 속한 셀에서 **dedicated control channel (전용 제어 채널)**이 유휴 상태인지 확인하고, 없으면 대기합니다.
- 유휴 상태라면, MU_S가 BTS에 **MU_D (수신 단말)**의 번호를 전송합니다.
- BTS는 이 번호를 MTSO로 전달합니다.
- MTSO가 MU_D의 번호를 기반으로 라우팅을 수행합니다.
- MU_D의 현재 위치를 관할하는 MTSO가 관리하는 모든 BTS에 paging을 요청합니다.
- BTS가 Common Control Channel을 통해 MU_D에게 paging 신호를 보냅니다.
- MU_D는 Common Control Channel을 통해 자신의 번호를 확인하고 응답하여 BTS에게 전송합니다.
- BTS는 이 정보를 상위 MTSO로 전달합니다.
- MU_S와 MU_D를 관할하는 MTSO 간에 circuit이 할당됩니다.
- 각 BTS가 MTSO로부터 traffic channel을 할당받아 MU_S와 MU_D에게 전달합니다.
- MU_S와 MU_D는 BTS가 알려준 채널로 설정하여 통신을 시작합니다.
6.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 (Control and Traffic Channels)
채널 유형특성
Broadcast Control Channel | 셀 안의 모든 MU가 공유, simplex 통신 (BTS → MUs) |
Common Control Channel | 셀 안의 모든 MU가 공유, half duplex (BTS ↔ MUs) |
Dedicated Control Channel | 특정 MU와 BTS 간 전용 채널, full duplex (BTS ↔ MU) |
Traffic Channel | 통화 전용 데이터 채널, full duplex, MTSO/BSC 관리 |
7. 핸드오버 (Handover or Handoff)
필요성 (Why Handover is Needed)
- 이동 중인 MU에게 끊김 없는 통신 제공
- 콜이 붐비는 셀에서 덜 붐비는 셀로 MU를 이동하여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종류 (Types of Handover)
- Inter-cell Handover: 서로 다른 셀 간 이동
- Inter-BSC Handover: 서로 다른 BSC 간 이동
- Inter-MSC Handover: 서로 다른 MSC 간 이동
- Intra-cell Handover:
- 한 셀 내에서 주파수 간섭 또는 채널 사용 효율을 위해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 Inter-frequency Handover: 외부 환경 등으로 간섭이 심할 때 주파수를 변경하여 수신 상태 개선
1. 다중 경로 페이딩 (Multi-Path Fading)
정의:
- 무선 또는 이동통신에서 **다중 경로 전파(Multi-Path Propagation)**로 인해 발생하는 신호 품질 저하 현상입니다.
- 전송된 신호(symbol)가 LoS (Line of Sight) 경로 외에도 회절(Diffraction), 산란(Scattering), 반사(Reflection) 등의 여러 경로를 통해 도착하면서 **증폭(Amplitude)**과 **위상(Phase)**이 달라져 수신 품질이 떨어집니다.
2. 기호 간 간섭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정의:
- 이동통신의 **다중 경로 전파(Multi-Path Propagation)**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으로, 송신기(TX)가 전송한 특정 심볼이 LoS로 수신기(RX)에 도착했을 때, 이전 심볼의 잔상이 뒤늦게 도착하여 겹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관련 용어
- Symbol period 또는 Symbol time (T):
- TX에서 전송하는 심볼들 사이의 간격입니다.
- **전송 속도(bps)**가 높아질수록 심볼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집니다.
- 높은 bps → 낮은 T
- Delay Spread (t):
- 하나의 심볼이 여러 경로를 통해 RX에 도착했을 때, 도착한 심볼들 사이의 최대 시간 차이입니다.
- T가 짧고 t가 길면 → ISI 발생 확률 증가
3. ISI 해결 방법 (Mitigation of ISI)
- Equalizer 사용: 이미 발생한 오류를 보정하는 방법
- Forwarding Error Correction (FEC): 오류를 복구하는 방식
- Diversity 기법: 공간, 시간, 주파수를 중복 사용하여 오류를 줄이는 방법
다양한 Diversity 기법
- 공간 다이버시티 (Space Diversity):
- 방향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여러 번 전송하고, ISI가 적은 신호를 선택 또는 평균으로 신호 복원합니다.
- 예)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시간 다이버시티 (Time Diversity):
-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시간차를 두고 여러 번 전송하여 ISI가 적은 신호를 선택 또는 평균으로 신호 복원합니다.
- 확산 스펙트럼 (Spread Spectrum):
- 필요한 채널 대역폭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간섭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 유형: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4.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FHSS)
- 작동 원리:
- 수신기(FHSS Receiver)가 가장 먼저 도착하는 LoS 신호를 수신한 후, 이미 다른 주파수로 이동하여 다중 경로로 인해 늦게 도착한 심볼들을 무시합니다.
- 사용자 간 주파수 도약 시간차가 있어 다른 사용자의 LoS 신호와 잔상 심볼이 겹칠 확률이 줄어듭니다.
- 결과적으로 다중 사용자가 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5. 직접 확산 스펙트럼 (DSSS)
- 작동 원리:
- 각 사용자가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고유한 PRN (Pseudo-Random Nois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합니다.
- 같은 PRN을 가진 RX만이 신호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
- 간섭 제거:
- 수신자가 PRN을 모르는 경우, 신호를 복원할 수 없어 **백색 잡음(White Noise)**처럼 보입니다.
- Narrowband Interference를 줄이는데 효과적입니다.
- ISI 감소:
- 1비트(0 또는 1)를 여러 개의 칩(chip)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Time Diversity처럼 작동하여 오류 복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6.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작동 원리:
- 폭이 넓은 고속 채널 하나를 사용하는 대신, 폭이 작은 여러 개의 채널을 사용하여 다중 경로로 인한 ISI를 줄입니다.
- 고속을 구현하면서도 ISI를 줄이는 기술로 4G-LTE, 5G에서 사용됩니다.
- 비유:
- 샤워기에서 물줄기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도 중간 장애물에 영향을 적게 받는 것과 유사합니다.
7. LTE-A 구현의 세 가지 핵심 기술
- CA (Carrier Aggregation):
- 여러 주파수 대역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합니다.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2x2, 4x4, 8x8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선형으로 증가시키는 기술입니다.
- OFDMA:
- ISI를 줄여 SNR을 높여주는 기술입니다.
8. 셀룰러 네트워크 세대별 특징 (Generations of Cellular Networks)
세대특징주요 기술
1G | 아날로그 음성 통화 서비스, FDMA | FDMA |
2G | 디지털 폰을 사용한 SMS 등장, TDMA | TDMA |
3G |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CDMA | CDMA |
4G | 모바일 브로드밴드 글로벌 표준, 스트리밍 서비스, LTE | OFDMA, CA, MIMO |
5G | IoT, 자율주행, AR/VR, 초저지연 통신(URLLC) | Massive MIMO, mmWave |
'CS > 정보통신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공학] CH12 교수님 요약 정리 (0) | 2025.05.31 |
---|---|
[정보통신공학] CH11 교수님 요약 정리 (0) | 2025.05.28 |
[정보통신공학] CH09 교수님 요약 정리 (0) | 2025.05.10 |
[정보통신공학] 중간고사 연습문제 (0) | 2025.04.16 |
[정보통신공학] 숙영리 정리본_중간고사 ch01, 02, 04, 06, 07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