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73

[데이터베이스] ch0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0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의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DataBase System)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02.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스키마와 인스턴스스키마(schema)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인스턴스(instance) :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 [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미국 표준화기관 ANSI/SPARC에서 제안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점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었다.외부 단계(external level): 개별 사용자 관점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외부 스키마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음외부스키마(external schema)= 서..

[데이터베이스] ch0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0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배경파일 시스템(file system)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을 생성-삭제-수정-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응용 프로그램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 관리파일 시스템의 문제점같은 내용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저장저장공간의 낭비 + 데이터 일관성과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ex) 연락처를 고객데이터파일에서만 수정하고 실수로 주문데이터 파일에서 수정하지 않는 경우해결? -> 데이터 통합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데이터 종속성)사용하는 파일의 구조를 변경하면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공유, 보안, 회복기능 부족응용프로그램 개발 쉽지 않음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Base M..

[데이터베이스] ch01.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01.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데이터: 현실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사실이나 값정보: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정보처리: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또는 방법정보 시스템 :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유용한 정보를 만즐어주는 수단데이터베이스 : 정보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역할 담당데이터베이스(DB; DataBase)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여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0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와 특징공유 데이터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통합 데이터최소의 중복과 통제 가능한 중복만 허용하는 데이터저장 데이터..

[운영체제] ch06. Process Synchronization

📄 OS에서의 Race Condition (1/3) 슬라이드는 운영체제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Race Condition (경쟁 조건),그 중에서도 커널 모드에서 interrupt가 발생했을 때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있어."Interrupt handler vs. kernel" 상황을 시각화한 그림과 함께, 실습처럼 레지스터 값을 따라가며 설명하는 구조야. interrupt handler vs. kernel🧠 핵심 개념 요약 Race Condition:둘 이상의 프로세스(또는 interrupt)가 **공유 자원(예: count 변수)**에 동시 접근하면서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하는 문제. 🔁 발생 상황 시나리오 count++ 수행 시 내부적으로 다음 순서로 처리됨: load count ..

CS/운영체제 2025.04.21

[운영체제] ch05. CPU Scheduling

📄 CPU-burst Time의 분포전체 개요 CPU burst time은 프로세스가 CPU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을 의미함.이 분포는 대부분의 프로세스가 짧은 burst time을 갖고, 일부만이 매우 긴 burst time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음. 그래프 해석x축: CPU 사용 시간 (burst duration, 단위: milliseconds)y축: 해당 시간의 사용 빈도 (frequency)● I/O bound job매우 짧은 CPU 사용 후 I/O 요청짧은 burst time을 자주 반복 (그래프 왼쪽의 뾰족한 고봉)✍️ 필기: “흔한 유형 (인터랙티브), 즉시 응답 요망”● CPU bound job연산량이 많아 한 번에 CPU를 오래 점유긴 burst time (그래프 오른쪽의 낮고 긴 ..

CS/운영체제 2025.04.21

[운영체제] ch04. Process Management

📄 프로세스 생성 (Process Creation)전체 요약 운영체제는 fork() 시스템 콜을 통해 부모 프로세스를 복제(fork), exec()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구조 및 용어 설명▶ 주소 공간 (Address Space)code / data / stack 전체를 포함부모 프로세스와 완전히 독립적인 공간으로 복제됨✍️ 필기: “code, data, stack 전부 포함됨”▶ fork()부모 프로세스를 그대로 복제하여 자식 프로세스 생성단, PID는 새로 부여됨 → 둘은 독립적인 PCB를 가짐✍️ 필기: “주소 공간은 같지만 PID 다름 → PCB 따로 있음”▶ exec()fork로 생성된 자식 프로세스가 기존 코드 덮어쓰기새로운 프로그램(b파일 등)을 메모리..

CS/운영체제 2025.04.21

[운영체제] ch03. Process

📌 그림 전체 설명이 그림은 .exe 실행파일이 메모리에 적재되고,그 코드가 CPU에 의해 fetch → decode → execute 되는 흐름을 설명하고 있어.🧠 전체 흐름 단계별 설명① 실행파일 a.exe가 DRAM(메인 메모리)에 적재예: a.exe (주소: 0x452320)✍️ 필기: "memory ← a.exe 적재됨"② **코드(Code 영역)**가 DRAM 내에 위치함코드 영역은 Read-only,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됨③ CPU가 메모리에서 명령어 fetch CPU 내부 구조에서: Program Counter(PC): 현재 실행할 명령어 주소 저장 Instruction Register(IR): 명령어 보관 후 decode ✍️ 필기: “CPU fetc..

CS/운영체제 2025.04.21

[운영체제] ch02. System structure & program excution

컴퓨터 시스템 구조🖥 구성 요소 정리OS가 설치된 부분, 사용자 프로그램 영역으로 나뉘어 있음.프로세스는 이 메모리 영역에서 동작함.1. CPU (중앙처리장치)Interrupt 발생 시 제어 흐름 전환: 사용자 모드에서 → "monitor 모드(커널 모드)"로 전환.OS는 CPU가 Interrupt를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감시함.interrupt vector 를 통해 적절한 서비스 루틴으로 점프함.2. Interrupt LineCPU와 각 장치 컨트롤러 사이에 존재.특정 장치에서 Interrupt를 발생시키면, 이 선을 통해 CPU에 신호를 보냄.CPU는 해당 interrupt를 감지하고, Interrupt Service Routine(ISR)을 실행함.3. Interrupt Controller각..

CS/운영체제 2025.04.21

[운영체제] ch01. Introduction to Operating Systems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OS) 란 무엇인가?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 사용자 및 다른 모든 계층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협의의 운영체제(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부분. 메모리에 상주하는 부분광의의 운영체제 : 커널뿐 아니라 각종 주변 시스템 유틸리티 포함 운영체제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 운영체제는 동시 사용자/ 프로그램이 각각 독자적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것 같은 환상 제공. 하드웨어 직접 다루는 복잡한 부분을 운체가 대행 컴퓨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효율적 관리 사용자간 형평성있는 자원분배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

CS/운영체제 2025.04.21

[정보통신공학] 중간고사 연습문제

P1) 왜 위성은 uplink와 downlink 주파수를 다르게 가져야 할까? 위성은 송신(RX)와 수신(TX) 동시에 수행해야 함(full-duplex)같은 주파수 사용하면 자기 송신 신호가 수신 방해(간섭)self-interference 피하려면 주파수 분리 -> 분리된 통신경로 확보 필요 >> 송수신간의 self-interference를 방지하기 위해 uplink와 downlink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해야 한다.P2) broadcast radio와 microwave의 주요 차이점을 몇 가지 제시하시오. 항목 Broadcast Radio Microwave ..